IMCOSH 함수 구글 스프레드시트, 업무 자동화 021

IMCOSH 함수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Runeba입니다.

오늘은 복소수 함수 시리즈 중 하나인 IMCOSH 함수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하이퍼볼릭 코사인(Hyperbolic Cosine)을 복소수 형태로 계산할 수 있는 유용한 함수인데요, 특히 전기공학, 신호처리, 고급 수학 계산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IMCOSH 함수란?

IMCOSH

  • 구문: IMCOSH(복소수)

  • 설명: 입력한 복소수의 하이퍼볼릭 코사인값을 계산하여 반환합니다.
    예: IMCOSH("2+3i")cosh(2+3i) 값을 반환합니다.


기본 예제 1

=IMCOSH("1+0i")

해설: 실수 1에 대한 하이퍼볼릭 코사인값은 약 1.5430806348입니다. IMCOSH는 이 값을 복소수 형태(1.5430806348+0i)로 반환합니다.


기본 예제 2

=IMCOSH("0+1i")

해설: cosh(i)cos(1)과 동일하므로 약 0.5403023059+0i가 반환됩니다.


심화 예제 1 – 복소수 계산

=IMCOSH("2+3i")

해설: 고등 수학에 나오는 공식에 따라 계산되며, 복소수 결과가 나옵니다: -3.7245455049+0.5118225699i


심화 예제 2 – 음의 허수

=IMCOSH("2-3i")

해설: 켤레복소수를 입력해도 실수부는 같고 허수부만 부호가 반대인 결과가 나옵니다. 결과: -3.7245455049-0.5118225699i


심화 예제 3 – 셀 참조 활용

=IMCOSH(A1)

해설: A1 셀에 "1+2i"라는 문자열이 있다면, cosh(1+2i)의 결과를 복소수 형태로 반환합니다.


심화 예제 4 – IMCOS와의 비교

=IMCOS("1+2i")

해설: IMCOS는 일반 코사인, IMCOSH는 하이퍼볼릭 코사인입니다.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오니 혼동 주의!


심화 예제 5 – 다른 복소수 함수와 결합

=IMREAL(IMCOSH("1+2i"))

해설: 복소수 결과의 실수부만 추출하고 싶다면 IMREAL과 결합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IMCOSH 함수 이럴 때 쓰면 좋아요

상황사용 예시
전기공학에서 복소 임피던스 계산IMCOSH("1+3i")
신호처리에서 복소수 변형 계산IMCOSH("0+πi")
고등수학이나 복소함수 그래프 계산IMCOSH("2+2i")
하이퍼볼릭 함수 시뮬레이션IMCOSH(셀 참조)

IMCOSH 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

주의사항설명
복소수는 반드시 문자열로 입력"1+2i" 형식이 아니면 오류 발생
실수 입력도 "1+0i"처럼 입력실수만 있어도 복소수 형식으로 입력해야 정상 작동
i 사용 필수j 대신 i만 인식
수학적 코사인과 하이퍼볼릭 코사인 구분IMCOSIMCOSH는 서로 다른 함수임을 명확히 이해해야 함

💡 실무 활용 팁

  • IMCOSH는 전력 시스템의 위상 각도 분석 시 켤레값 계산에 유리합니다.

  • 공학 계산 시 IMCOS, IMSINH, IMTANH와 조합해 사용하면 수식 정리가 쉬워집니다.

  • 복소수 행렬 계산을 자동화할 때도 사용 가능하며, 과학적 데이터 분석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링크

Google 공식 설명서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