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INARY 함수 구글 스프레드시트, 업무 자동화 019

IMAGINARY 함수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Runeba입니다.

오늘은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복소수의 ‘허수부’만 추출할 수 있는 함수, IMAGINARY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 복소수를 다룰 때 실수부와 허수부를 분리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며, 이 함수는 그 역할을 간단히 수행합니다.


IMAGINARY 함수란?

IMAGINARY

  • 구문: IMAGINARY(복소수)

  • 설명: 복소수에서 허수 부분만 숫자로 추출해 반환합니다. 복소수는 "a+bi" 형식의 문자열로 입력해야 하며, 반환값은 허수부의 숫자입니다.


📘 기본 예제 1

=IMAGINARY("3+4i")

해설: 3+4i라는 복소수에서 허수부 4만 반환합니다.


📘 기본 예제 2

=IMAGINARY("7-9i")

해설: -9i가 허수부이므로 -9을 반환합니다.


💡 심화 예제 1 – 허수만 있는 경우

=IMAGINARY("0+6i")

해설: 실수부가 0이라도 상관없으며, 허수부 6이 그대로 반환됩니다.


💡 심화 예제 2 – 실수만 있는 경우

=IMAGINARY("5")

해설: 허수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0을 반환합니다.


💡 심화 예제 3 – 소수형 허수

=IMAGINARY("2.5+3.75i")

해설: 소수값도 정확히 인식되어 허수부 3.75가 출력됩니다.


💡 심화 예제 4 – 변수로 전달된 복소수

=IMAGINARY(A1)

해설: A1에 "1+2i"가 입력되어 있다면, 허수부 2가 반환됩니다.


💡 심화 예제 5 – 음수와 복잡한 표현

=IMAGINARY("-8.1-6.2i")

해설: 허수부 -6.2를 반환합니다. 음수 허수부도 정확히 추출됩니다.


IMAGINARY 함수 이럴 때 쓰면 좋아요

상황사용 예시
복소수에서 허수만 분석하고 싶을 때IMAGINARY("3+4i") → 4
데이터 분석 시 실수/허수 분리 필요 시IMAGINARY(A2)
복소수 그래프를 그릴 때 허수 추출용IMAGINARY("1.5-2i") → -2

IMAGINARY 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

주의사항설명
문자열 복소수 형태로 입력 필요"a+bi" 형식이 아니면 오류 발생
실수만 입력되면 0 반환IMAGINARY("7") → 0
복소수 접미사는 항상 i로 작성해야 함3+4j (X), 3+4i (O)

💼 실무 활용 팁

  • 복소수 데이터를 분해하여 실수/허수 각각 통계 분석이 필요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 전기 공학, 제어 시스템 등에서 허수부만 별도로 계산해야 할 경우 자동화 수식 구성 시 효과적입니다.

  • IMREAL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실수부·허수부를 동시에 추출하여 벡터 계산에 활용 가능합니다.


링크

Google 공식 함수 설명서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