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BS 함수 구글 스프레드시트, 업무 자동화 018

IMABS 함수 배워볼까요? 안녕하세요, Runeba입니다.

오늘은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복소수의 크기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IMABS 함수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복소수 연산은 과학, 공학, 데이터 분석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만큼, 이 함수의 개념과 활용 예제를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소수의 절댓값을 구하는 IMABS 함수란?

IMABS

IMABS 함수는 복소수(complex number)의 절댓값, 즉 크기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수학적으로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 √(실수부² + 허수부²)의 값을 반환합니다.

  • 구문: IMABS(숫자)

  • 설명: 숫자는 복소수 형태의 값이어야 하며, 함수는 해당 복소수의 절댓값(거리)을 반환합니다.


📘 기본 예제 1

=IMABS("3+4i")

해설: 이 복소수의 절댓값은 √(3² + 4²) = √(9 + 16) = √25 = 5가 됩니다.


📘 기본 예제 2

=IMABS("5-12i")

해설: √(25 + 144) = √169 = 13로 계산되어 13이 출력됩니다.


💡 심화 예제 1 – 실수만 포함된 복소수

=IMABS("7")

해설: 실수 7만 있을 경우 절댓값은 그대로 7입니다. 허수부가 0이므로 √(49 + 0) = 7입니다.


💡 심화 예제 2 – 허수만 포함된 복소수

=IMABS("0+9i")

해설: √(0² + 9²) = 9입니다. 실수부가 0일 때도 올바르게 계산됩니다.


💡 심화 예제 3 – 음수 실수와 허수 조합

=IMABS("-6-8i")

해설: √(36 + 64) = √100 = 10입니다. 음수 실수/허수도 무방합니다.


💡 심화 예제 4 – 변수와 함께 사용

=IMABS(A1)

해설: 셀 A1에 복소수 형식 "4+3i"가 들어있다면, 결과는 √(16 + 9) = 5가 됩니다.


💡 심화 예제 5 – 실험용 데이터 계산

=IMABS("1.5+2.5i")

해설: 소수로 구성된 복소수도 지원됩니다. √(2.25 + 6.25) = √8.5 ≈ 2.915가 반환됩니다.


IMABS 함수 이럴 때 쓰면 좋아요

상황사용 예시
물리 실험에서 전압 벡터의 크기 계산IMABS("3+4i")
교류 전류의 위상 차 벡터 절댓값 계산IMABS("5-12i")
수학 수업에서 복소수 거리 계산IMABS("a+bi")

IMABS 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

주의사항설명
문자열 형태의 복소수만 인식 가능"3+4i"처럼 반드시 문자열로 입력해야 합니다.
실수만 입력하면 결과는 그대로 반환됨"5" → 5
허수 기호는 반드시 i 사용"4+3j" (X) → "4+3i" (O)

💼 실무 활용 팁

  • "복소수 데이터가 많은 측정 로그"가 있다면, IMABS를 통해 일괄적으로 크기 계산이 가능합니다.

  • 실험 데이터의 거리 기반 비교에 유용하며, IMABSMAX, MIN, AVERAGE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복소수 값들의 통계 분석도 가능합니다.


링크

가져온 곳:
Google 공식 함수 설명서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