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Runeba입니다!
오늘은 Google 스프레드시트의 CHOOSE 함수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데이터 성격에 따라 여러 값 중 하나를 골라야 할 때 꽤 유용한 함수입니다.
빠른 목차
CHOOSE 함수, 이럴 때 쓰면 좋아요 🎯
CHOOSE 함수는 숫자(색인)에 따라 원하는 항목을 선택해주는 함수입니다.
예를 들면: =CHOOSE(2, "사과", "바나나", "체리")
는 "바나나"
를 반환하죠.
최대 29개의 항목까지 사용할 수 있어 간단한 목록 선택에 적합합니다.
기본 구문 이해하기
색인(index): 반환할 값의 순번 (1부터 시작)
선택1, 선택2, …: 원하는 값 또는 셀 참조
만약 색인이 0
, 음수, 또는 선택 항목 수보다 크면 #VALUE!
오류가 발생합니다.
실전 예제: 상황에 맞게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색인 | 결과 항목 |
---|---|
1 | =CHOOSE(1, “월급날”, “직장”, “휴식”) → “월급날” |
2 | =CHOOSE(2, B2, C2, D2) → C2 셀 값 반환 |
또는 RANDBETWEEN(1,3)
과 함께 사용해 무작위로 선택하면 재미있는 자동 추첨 기능도 구현할 수 있습니다.
CHOOSE 활용 꿀팁
시나리오 전환
=CHOOSE(C1, 시나리오A, 시나리오B, 시나리오C)
와 같이 셀 C1의 값으로 선택 내용을 바꿀 수 있습니다.MATCH 함수와 결합하기
다음처럼 학생 등급을 자동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CHOOSE(MATCH(B2, {0,60,70,80,90},1), "F","C","B","A")
IFERROR와 함께 안전 장치 추가
유효하지 않은 색인값이 들어왔을 경우:=IFERROR(CHOOSE(A1, "사과","바나나"), "범위 초과")
로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배열 방식으로 값 선택
=CHOOSE(2, A2:A5, B2:B5)
처럼 범위를 선택하려면 CHOOSECOLS 또는 CHOOSEROWS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CHOOSE vs VLOOKUP vs INDEX/MATCH
구분 | CHOOSE | VLOOKUP / INDEX–MATCH |
---|---|---|
정렬 필요 | 아니지만 단순 목록용 | 필요 없음 / 매우 유연 |
사용 난이도 | 매우 쉬움 | 다소 복잡 |
동적 활용성 | 제한적 (최대 29개) | 높음 |
실무 활용도 | 간단한 매핑 작업 | 넓은 범위 적용 가능 |
CHOOSE는 빠르고 간단한 값 선택에 좋고,
대규모 데이터 탐색이나 유연한 참조는 INDEX/MATCH와 더 잘 어울립니다.
언제 CHOOSE를 쓰면 좋을까요?
목록에서 빠르게 1:1 대응값이 필요할 때
시나리오별 결과 출력이 필요한 경우
임시 추첨 기능이나 선택지를 랜덤하게 설정할 때
링크
[icon name=”link” prefix=”fas”]
Google 공식 문서 – CHOOSE 함수 : https://support.google.com/docs/answer/3093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