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티머니 드디어 탑재! 안 써보면 손해 팁 5가지

아이폰 티머니가 드디어 탑재되어 대중교통 결제가 가능해진 소식을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이번 업데이트는 애플페이 지갑 앱 내에서 선불 티머니 카드만 지원하며, 백그라운드 결제나 후불 결제 기능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아이폰 티머니 핵심 요약 ✏️

  • iOS 18.4 이상 아이폰 및 Apple Watch에서 선불 티머니 교통카드 지원 시작
  • 선불 충전 방식만 가능하며 후불 결제는 지원되지 않음
  • 자동 충전 기능 제공: 잔액 부족 시 해당 카드로 자동 충전됨
  • 기후동행카드·K-패스 등 후불 교통 지원 카드 사용 불가
아이폰 티머니 09

아이폰 티머니가 들어가기 위한 과정 🏭

2023년 애플페이가 국내에 출시된 이후, 아이폰 사용자들은 교통카드 기능 부재로 불편을 겪었습니다.
그러다 올해 7월 22일, 드디어 애플 지갑 앱에 선불 방식 티머니 카드가 추가되었고, 앱에서 1만·3만·5만 원 단위로 선불 충전할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처럼 지자체가 후불로 지원하는 카드들은 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대신 잔액 자동 충전 기능이 세계 최초로 탑재되었습니다.

아이폰에 교통카드를 넣기위해 애플과 티머니가 협업을 진행했고, 마침내 2025년 7월 22일, 티머니가 공식적으로 Apple Pay Wallet에 추가되었습니다.

이는 애플이 한국 교통카드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는 첫걸음이며, 국내 교통 결제 시스템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변화입니다.

아이폰 티머니 10

아이폰 티머니 문제점 😨

  • 후불 결제 불가능: 기존 실물 카드처럼 후불 충전 이용 불가
  • 기후동행카드·K-패스 미지원: 지자체 복지 목적 카드 이용 불가
  • 지원 카드사 제한: 애플페이 지갑 충전은 현대카드만 가능, 다만 티머니 앱 내에서만 다른 수단 활용 가능
  • 익스프레스 모드 이용 가능: 화면 켜지지 않아도 태그만으로 결제되지만, 배터리 자율 예비 모드로 최대 5시간 사용만 가능
아이폰 티머니 12

그럼 지역 교통카드는요?

요아이폰 사용자들은 드디어 교통카드 기능을 누리게 되었지만,

  • 후불 충전을 기대했던 사용자에게는 한 단계 낮은 기능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 복지 목적 교통카드 이용자는 여전히 실물 카드가 필요합니다.
  • 현대카드 독점 결제 방식은 사용자 선택권을 일부 제한하는 요소입니다.
아이폰 티머니 11

아이폰 사용자들은 “왜 이제서야?”라는 말을 할 정도로, 이 기능을 오랫동안 기다려왔습니다. 특히 출퇴근 시 교통카드를 따로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 삼성폰 사용자와의 기능 격차, 실물 티머니 카드 분실에 대한 불안 등은 그간 애플 사용자들의 고질적인 불만이었습니다.

이제는 아이폰으로만 교통카드를 대신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엄청난 변화입니다.
하지만 애플이 국내에서는 이 기능을 수년간 제공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선 여전히 뒷말이 많습니다. 특히 독점적 협상과 기술 구현의 한계 등이 원인이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죠.


아이폰 티머니 어떻게 사용하나요? 🧭

  1. iOS 18.4 이상으로 업데이트하세요.
  2. Apple Wallet 앱 실행 → + 버튼 → “교통카드 – 티머니” 선택 → 필요 금액 충전
  3. 익스프레스 모드 활성화하여 화면 없이 단말기 태그 결제 가능
  4. 자동 충전 설정으로 잔액 관리 자동화
  5. 교통카드 이용이 필요하다면 기후동행카드 등 다른 앱 사용 고려
  • 아이폰 티머니 01
  • 아이폰 티머니 03
  • 아이폰 티머니 04
  • 아이폰 티머니 05
  • 아이폰 티머니 07
  • 아이폰 티머니 06

아이폰 티머니 팁 💡

  • 현대카드 등록 필수: 애플페이에서 자동 충전이 가능
  • 잔액 자동 충전 설정: 예를들면 잔액 5,000원 이하 → 3만원 충전
  • 익스프레스 모드로 편의성 극대화, 배터리 절약 모드로도 일정 시간 작동 가능
  • 복지 교통카드 보유자는 별도 실물 카드 사용 필요
  • 애플워치 사용자도 동일하게 이용 가능
아이폰 티머니 08

관련 링크 🔗

함께 보면 좋은 글

관련 자료

댓글 남기기